top of page
블로그: Blog2

코인 Ticker 만들기 #3.환경설정

최종 수정일: 2019년 1월 23일

이번 강좌에서는 아두이노 IDE를 설치하고 환경설정하는 법을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아두이노 IDE 는 아두이노 보드에 스케치(아두이노 소스)를 올리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기타 타 보드를 위한 환경도 제공하고 있어 초기 개발자들이 사용하기 쉽게 되어있습니다.


아두이노 IDE 를 사용하는 이유로는 소스 컴파일 및 업로드가 수월하고

ESP8266 을 사용하는 보드(nodeMCU 등 기타 호환보드) 와의 호환성이 있고

Wifi 라이브러리 등 ESP8266 을 사용하는데 필요한 기본 라이브러리가 제공되고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우선 아두이노 IDE 를 설치하기 위해 아래 순서대로 따라하시면 됩니다.


1. 아두이노 홈페이지로 접속합니다.


위와 같은 화면으로 구성되어있으며 예전에는 아두이노에 대한 설명이 주를 이뤘던 반면

현재는 메이커 열풍과 함께 아두이노를 이용한 간단한 프로젝트도 소개하고 있는것을 볼 수 있습니다.


2. SOFTWARE / DOWNLOADS 메뉴로 들어갑니다.


아두이노 IDE 를 다운로드 받기 위해 홈페이지 상단의 메뉴를 클릭합니다.


3. Download the Arduino IDE 에서 운영체제에 맞는 링크를 클릭합니다.



운영체제 별로 설치파일을 각각 제공하는데요.

저 같은 경우 윈도우 10 환경과 맥 OS X 환경을 주로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캡쳐 화면이 간혹 윈도우 버전과 상이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기본 메뉴와 컴파일 방법은 모두 동일하니 배우시는데는 크게 문제되지 않습니다.

이번시간에는 윈도우 10 환경의 설치파일을 선택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4. JUST DOWNLOAD 를 클릭해서 다운로드 후 설치를 진행합니다.


예전에는 단순히 다운로드 받기만 했었으나 지금은 기부를 요하는 버튼이 추가되어있습니다.

기부를 하실 분은 우측 CONTRIBUTE & DOWNLOAD 버튼을 클릭해 주시고

지금 당장은 기부할 여력이 안되시는 분들은 좌측의(잘 안보이는) JUST DOWNLOAD 버튼을 클릭해서 다운로드 해주시면 됩니다.


5. 설치된 Arduino IDE 를 실행합니다.


설치과정은 생략되어있으며 일반 프로그램 설치하듯이 설치 버튼만 클릭해 주시면 됩니다.


6. 아두이노 IDE 메뉴에서 파일 / 환경설정 메뉴로 들어갑니다.


환경 설정 메뉴로 들어가서 아두이노 IDE 환경설정 팝업을 띄웁니다.

이곳에서는 아두이노 IDE 프로그램의 환경설정을 변경할 수 있는데

중간의 줄 번호 표시 와 하단의 추가적인 보드 메니저 URLs 부분이 중요합니다.


7. 추가적인 보드메니저 URLs 에 아래 경로를 입력합니다.


줄 번호 표시를 체크하게 되면 스케지(아두이노 소스) 의 좌측에 해당 줄 번호가 표시되며

추가적인 보드 매니저 URLs 부분에는 ESP8266 보드를 개발하기 위해 ES8266 관련 보드의 

매니저를 다운받을 수 있는 경로(아래)를 입력합니다.

http://arduino.esp8266.com/stable/package_esp8266com_index.json


8. 툴 / 보드: / 보드메니저 실행

아두이노 IDE 의 메뉴에서 보드매니저를 실행합니다.

ESP8266 과 관련 된 기본 보드정보를 내려받을 수 있습니다.


9. esp8266 검색 후 설치(Install)     - ESP8266 과 관련 된 기본 보드정보를 내려받기위한 화면입니다.       이때 주의할 점은 최신 버전 중 beta 버전이 아닌 것을 콤보박스에서 선택 후 설치버튼을 눌러주세요.       간혹 beta 버전에서 컴파일이 안되는 소스가 있어서 난감한 경우가 생길때가 있습니다.


10. 설치가 진행됩니다.

   - ESP8266 과 관련된 보드 매니저가 설치됩니다. 하단의 설치 진행단계를 확인하시면 됩니다.

     설치에 다소 시간이 소요됩니다. 



11. 툴 / 보드 / (사용하고 있는 보드) 선택

   사용하고 있는 보드를 선택해 줍니다.

- 보통 NodeMCU 1.0 (ESP-12E Module) 나 WeMos D1 & Mini 를 사용합니다.

   이번 강좌에서는 WeMos D1 & Mini 를 사용하므로 LOLIN(Wemos) R2 & Mini 를 선택합니다.

   호환 보드인 경우에도 대표 보드를 선택해 줍니다.

   예) Wemos D1 Mini 호환보드 인경우 LOLIN(Wemos) R2 & Mini 를 선택합니다.


이상으로 아두이노 IDE 설치 와 환경설정을 마쳤습니다.

다음시간에는 아두이노 IDE 에 개발보드(Wemos D1 Mini) 를 연결하는 강좌를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Comments


Join our mailing list

Never miss an update

뉴스레터 구독하기

최신 업데이트를 받아보세요!

대한민국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연무동 21 유천프라자 가동 508호

  • facebook
  • twitter
  • linkedin

©2018 by 윈드마켓. Proudly created with Wix.com

bottom of page